JLPT N2 시험 유형
JLPT N2 시험은 크게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 독해와 청해로 나뉩니다.
JLPT 레벨 별로 각 파트별 시험 시간이 다르며, N2의 경우 언어지식+독해가 105분, 청해가 50분으로 총 155분입니다.
- 시험 점수 표시
- 언어지식 : 0 ~ 60
- 독해 : 0 ~ 60
- 청해 : 0 ~ 60
- 합격/불합격 판정
종합득점과 각 득점구분의 기준점, 이 두 가지로 합격/불합격 판정을 내립니다.
즉, 각 분야별로 19점이상 취득하되 총합 점수가 90점이상이어야 합니다.
레벨 |
합격점 |
기준점 |
||
언어지식 | 독해 | 청해 | ||
N1 | 100 | 19 | 19 | 19 |
N2 | 90 | 19 | 19 | 19 |
N3 | 95 | 19 | 19 | 19 |
N4 | 90 | 38 | 19 | |
N5 | 80 | 38 | 19 |
추가로 JLPT는 득점등화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토익 점수 배정방식과도 유사합니다.)
JLPT는 매회 출제되는 문제가 다르므로 시험의 난이도가 다소 변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신시험에서는 ‘등화’ 방법을 통해 다른 시기에 실시된 시험 득점을 공통 척도상의 득점으로 표시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A씨가 7월과 12월에 N2를 수험해서 '청해'파트의 정답 수가 10문제로 같습니다. 그러나 7월보다 12월 시험이 어려웠을 경우, 똑같이 10문제를 맞춘 A씨이지만, 등화된 '청해' 척도득점은 7월은 30점, 12월은 35점으로 어려웠던 12월의 시험 득점이 더 높게 평가됩니다.
즉, 어려운 문제의 경우 배점이 타 문제보다 높습니다.
쉬운 문제는 틀려도 점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고, 어려운 문제는 맞추면 점수가 크게 오를 수 있습니다.
7월 | 12월 | |
'청해' 정답 수 | 20문제 중 10문제 | 20문제 중 10문제 |
등화된 '청해' 척도득점 | 30점 | 35점 |
*표 내의 문제 수 및 득점 숫자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실제 척도점수 표시에 의한 것은 아닙니다.
JLPT N2 문제 유형
각 문제별 문항 수는 시험마다 조금씩 변동될 수 있습니다.
1. 문자·어휘 (言語知識) (32문항)
문제 1: 한자 읽기 (5문항)
- 주어진 한자를 올바르게 읽는 선택지를 고르는 문제
- 예) 「 先生に貴重な資料を見せていただいた。」
→ ① きじゅう ② きちょう ③ きっじゅう ④ きっちょう
문제 2: 표기 (5문항)
- 주어진 히라가나의 적절한 한자 표현을 고르는 문제
- 예) 「 友人を家にまねいた。」
① 伯いた ② 招いた ③ 泊いた ④ 召いた
문제 3: 어형성 (5문항) (N2에서는 하나의 문제 패턴으로 존재)
- 주어진 단어의 파생어나 복합어를 고르는 문제
- 예) 「 男女の結婚( )の違いについて調べた。 」
① 観 ② 識 ③ 念 ④ 察
문제 4: 문맥 규정 (5문항)
- 문맥에 맞는 단어를 선택하는 문제
- 예) 「 この大学では一般向けの講座を開き、社会に学習の場を( )している。 」
① 選出 ② 提供 ③ 指示 ④ 寄付
문제 5: 유의어 (5문항)
- 주어진 단어와 의미가 유사한 단어를 고르는 문제
- 예) 「 高橋さんはとても愉快な人だ。」
① 面白い ② おしゃれな ③ 親切な ④ かわいい
문제 6: 용법 (5문항)
- 제시된 단어가 올바르게 사용된 문장을 고르는 문제
- 예) 「 延長 」
① 悪天候で列車が運転をやめたため、旅行の出発が三日後に延長された。
② 初めの設計では2階建てだったが、3階建ての家に延長することにした。
③ 予定の時間内に結論が出ず、会議が1時間延長されることになった。
④ 電車の中で居眠りをして、降りる駅を一駅延長してしまった。
2. 문법 (文法) (22문항)
문제 7: 문법 형식 (12문항)
- 문장에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형식을 고르는 문제
- 예) 「 卒業論文がなかなか書けなくて、一時は( )かけたが、何とか今日無事に提 しゅつ 出することができた。」
① あきらめ ② あきらめて ③ あきらめる ④ あきらめた
문제 8: 문맥 배열 (5문항)
- 주어진 문장을 문법적으로나 의미적으로 올바르게 배열하는 문제
- 예) 「 結婚生活を送る ____ ____ ★ ____、相手への思いやりの気持ちを 持つことだと思う。」
① うえで ② といえば ③ 大切か ④ 何が
문제 9: 문맥상 적절한 표현 (5문항)
- 문맥에 적절한 문법적 표현을 선택하는 문제
- TOEIC 파트 6와 유사하게 긴 본문에 빈칸이 5개 있습니다.
3. 독해 (読解) (21문항)
문제 10: 단문 이해 (5문항)
- 200자 내외의 짧은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는 문제
- 지문 5개와 지문당 문제 1개
- 예) 설명문, 지시문의 내용 이해 등
문제 11: 중문 이해 (9문항)
- 500자 내외의 중간 길이의 글을 읽고 핵심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
- 지문 3개와 각 지문마다 세트형 문제 3개
- 예) 평론, 해설의 인과 관계 등
문제 12: 통합 이해 (2문항)
- 600자 내외의 복수의 글을 읽고 비교분석하며 이해하는 문제
- 지문 2개와 세트형 문제 2개
문제 13: 주장 이해 (3문항)
- 900자 내외의 긴 지문을 읽고 전반적인 내용과 세부 정보를 확인하는 문제
- 지문 1개와 세트형 문제 3개
- 예) 사설, 논평 등
문제 14: 정보 검색 (2문항)
- 700자 내외의 글을 보고 필요한 정보를 찾는 문제
- 지문 1개와 세트형 문제 2개
- 예) 공지문, 표, 전단지 등의 실용문
4. 청해 (聴解) (31문항)
문제 1,2,3,4번은 연습 문제가 있습니다.
문제 5번은 연습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지에 자유롭게 메모해도 됩니다. (무조건 해야합니다.)
문제 1: 과제 이해 (5문항)
- 짧은 대화를 듣고 질문에 답하는 문제
- (상황 설명 + 질문) → (대화) → (질문)
문제 2: 포인트 이해 (6문항)
- 대화나 설명의 주요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
- (상황 설명 + 질문) → (선택지 읽는 시간 20초) → (대화) → (질문)
문제 3: 개요 이해 (5문항)
- 화자의 의도와 주장 등을 이해하는 문제
- 선택지가 문제지에 제시되지 않음에 주의
- (상황 설명) → (대화) → (질문) → (선택지를 음성으로 제시)
문제 4: 즉시 응답 (12문항)
- 짧은 문장을 듣고 바로 응답하는 문제
- A와 B의 응답 형식으로 A의 말을 듣고 B의 응답을 찾는 문제
- 문제당 3개의 선택지가 제시됩니다.
- 선택지가 문제지에 제시되지 않음에 주의
- (대화) → (선택지를 음성으로 제시)
문제 5: 통합 이해 (3문항)
- 긴 대화를 듣고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
- 연습 문제가 없음에 주의
- 1번, 2번 문제는 선택지가 문제지에 제시되지 않음에 주의
- 3번 문제는 선택지가 문제지에 제시되어 있으나 세트형 문제가 2개 있음에 주의
- 1번, 2번 : (상황 설명) → (긴 대화) → (질문) → (선택지를 음성으로 제시)
- 3번 : (상황 설명) → (긴 대화) → (질문)
본 포스트에 사용한 모든 문제는 일본어능력시험 공식문제집에서 가져왔음을 밝힙니다.
'어학 > JL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LPT N2 2023년 12월 기출문제 풀어보기 (0) | 2025.03.30 |
---|---|
일본어 문법 완벽 정리 1 : 8가지 문형과 의문문 🚀 (0) | 2025.03.14 |
JLPT N2 4개월 도전기 (0) | 2025.03.11 |
2025년 제1회 JLPT 시험 일정 (0) | 2025.03.11 |